코오롱 소개
R&D 센터

꿈을 현실로 만들어가는
쉼 없는 도전과 성공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연구개발본부는 1978년 화섬업계 최초로 설립하여 코오롱의 성장을 이끄는 기술 경쟁력의 핵심으로 사업 Portfolio를 강화를 통해 새로운 미래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개발본부는 코오롱의 미래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 융복합 연구 개발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성공을 이끌어내기 위해 ESG 중심의 R&D를 수행하고 있으며, 세계 유수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신사업 기회를 지속적으로 발굴 · 추진에 힘쓰고 있습니다.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 문화를 바탕으로 소재 개발과 응용기술을 통해 현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신사업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R&D 네트워크 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

테이블 캡션 내용이 들어갑니다.
주요 연구부문 수소 생산&저장 소재, 차세대 이차 전지 소재, 바이오 및 재생 폴리머, 복합소재(토우 프리프레그, 경량화 소재), 무기소재(아몰퍼스, 연자성 소재/부품), 생물 전환 소재, 항균 케어 솔루션, 타이어코오드, 에어백, 스펀본드, 산업용사, 샤무드, 아라미드, DFR, IT Chemical 소재, CPI, 석유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PET수지 등

코오롱생명과학
Bio연구소

코오롱생명과학 Bio연구소는 Global Leading Cell & Gene Therapy Company로 도약이라는 비전으로 바이오 신약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Bio연구소는 미래 유전자 치료제의 Leading Company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신경 질환 및 항암 분야를 중점 치료 분야로 선정하였으며, 바이러스성 전달체 기반의 혁신적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후속 파이프라인으로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 KLS-2031 (미국임상 1/2a상)과 종양 살상 바이러스 KLS-3021(전임상)이 있습니다. 더불어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있어 차별화 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바이러스성 전달체 Platform 기술을 고도화하고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보강해나갈 예정입니다.

테이블 캡션 내용이 들어갑니다.
주요 연구부문 유전자치료제

코오롱생명과학
Chemical 연구소

코오롱생명과학 Chemical연구소는 경쟁력 있는 합성 및 융복합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원료 의약품 및 중간체, 항균제 등의 제품개발을 통해 원료의약 및 정밀화학 분야의 선도자로 자리매김 할 것입니다.

Chemical연구소는 원료의약, 정밀 화학, 수처리 관련 제품을 개발합니다. 다양한 원료의약품, 의약중간체 포트폴리오를 확보하여 일본 의약품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였으며, 글로벌 임상 신약 및 중간체를 공급하며 CMO/CDMO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Chemical연구소만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촉매 기반 공정 개발 및 연속공정 개발 등 경쟁력 있는 프로세스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항균제, 전기•전자 첨단 소재 등을 국내 및 글로벌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테이블 캡션 내용이 들어갑니다.
주요 연구부문 원료의약(API), CleanBio(항균제), Besfloc(수처리제) 등

코오롱제약
의약연구소

의약연구소는 환자 중심의 가치 창출과 제품 경쟁력을 갖는 의약품에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차별화된 신제품 및 희귀 의약품 파이프라인 확대를 추진 하고 있습니다.

사업성과 시장성이 있는 연구 아이템을 발굴하고 시행계획 및 일정 관리를 통해 개발 일정을 준수하는 한편, 글로벌 수준의 허가 자료 준비를 위한 전문성 강화로 솔루션을 탐색하며 연구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미래가치 제고를 위해 R&D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신기술 확보를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테이블 캡션 내용이 들어갑니다.
주요 연구부문 신약, 희귀 의약품 확대

코오롱제약
신약개발연구소

신약개발연구소는 동소이식모델 기술 및 글로벌 수준의 동물실험 및 비임상 평가를 바탕으로 인류의 건강 증진을 추구합니다.

신약개발연구소는 장기에 종양을 직접 이식해 신약의 효능과 독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동소이식모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췌장암, 난소암 등 60여개의 특이 표적을 발굴해 항암 신약개발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엔더슨 암센터 등에서 신약개발의 비임상/임상 전문가로 활동한 연구진은 '실제 환자의 종양 조직과 가장 유사한 모델을 수립하는 다양한 항암 모델'을 보유함으로써 개발 신약의 임상재현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자체신약개발 뿐만 아니라, 국내외 우수한 기업과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공동신약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테이블 캡션 내용이 들어갑니다.
주요 연구부문 신약 개발

코오롱그룹의 모바일 웹은
세로 화면에 최적화되어있습니다

23% 스크롤 진행